전체 글(404)
-
3-3. 특수문자 삽입 방법과 텍스트를 정의하는 인라인 요소들
1. 특수문자 삽입의 올바른 방법 XHTML에서는 , & 등의 기호를 텍스트에 사용하면 문자데이터가 아니라 XHTML 특유의 기호로 인식합니다. 그래서 XHTML상의 기호나 키보드로 직접 입력이 어려운 문자를 표시하기 위해 "문자참조(Charactor References)"를 사용하며, HTML5에서도 기호의 표현은 이 문자참조의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러한 특수문자의 조합을 "Entitu code"라고 하며, 보통 &으로 시작해서 ;로 끝나게 됩니다. 문자실체 참조와 수치문자 참조 2방법이 있으며, 어떤 것을 사용해도 되지만, XML에서는 수치문자 참조 방법을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기호 내용 문자실체 참조 수치문자 참조 보다 큼 > > & Ampersand & & ⓒ Copyright ©..
2017.10.06 -
3-2. 블록/인라인 레벨 요소 및 컨텐츠 분류
1. HTML태그는 크게 '블록 레벨 요소'와 '인라인 레벨 요소'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블록 레벨은 너비나 높이를 지정할 수 있고 줄 바꿈 속성을 가지고 있지만, 인라인 레벨은 너비나 높이를 지정할 수 없으며 줄이 바뀌지 않는(인라인) 형식으로 표현됩니다. HTML5로 발전되면서 블록 레벨과 인라인 레벨로 구분하는 방법은 퇴색 되었지만, 없어진 것은 아니며 비슷한 속성끼리 나누는 방법으로 발전되었습니다. 익스플로러 버전9 이하에서는 HTML5요소를 제대로 지원하지 않으므로, 이 경우에는 자바스크립트에서 document.create.Element("태그이름")의 혁식으로 생성하고, 스타일시트로 인라인 또는 블록요소의 특성을 따로 지정해야 합니다. 2. 블록 레벨 요소 블록 레벨 요소는 자신을 감싸는 상..
2017.09.25 -
네트워크 공유 암호보호가 계속 켜질때
1. 고급 공유 네트워크 -> 모든 네트워크 -> 암호로 보호된 공유 -> 암호 보호 끄기를 설정하고 저장을 했는데 다시 암호 보호 켜기로 변경된다면 Guest에 암호가 걸렸을 확률이 있습니다. 2. Window키+R을 눌러 실행창을 열고 "lusrmgr.msc"입력하고 확인버튼을 클릭합니다. 3. 사용자를 클릭하고 Guest를 우클릭 한 후 암호설정을 클릭합니다. 4. Guest의 암호 설정의 대한 경고문이 출력되는데 계속 버튼을 클릭합니다. 5. 새암호 및 암호확인에 값을 입력하지 않고 확인 버튼을 클릭합니다. 6. 다시 1번의 암호 보호 끄기로 설정한 후 저장을 하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2017.09.20 -
3-1. HTML 문서의 구조
1.DOCTYPE 지정하기 웹 표준으로 마크업하는 가장 기본적인 사항은 바로 "문서형의 선언"입니다. HTML문서의 최상단에 지정하며 HTML 버전에 따라 차이가 있습니다. 1-1. HTML4의 경우 다음의 3가지의 형식 중에서 가장 많이 활용되는 타입은 "Transitional 타입"입니다. "Strict 타입"의 경우 엄격하고 제약이 많은 만큼 다소 까다롭지만, 유지/보수에 효율적이고 속도도 빠른 장점이 있습니다. -1) Strict타입 : 엄격한 형식으로 iframe, font, center 등 폐지된 요소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2) Transitional 타입 : 다소 유연한 형식으로 폐지된 요소라도 사용 가능합니다. -3) Frameset 타입 : 문서가 프레임을 포함할 경우 사용합니다. 1..
2017.09.13 -
2-4. HTML5의 등장
HTML5는 브라우저와 디바이스에서 사용되고 보다 직관적인 시멘틱 마크업이 추가된 것뿐만 아니라 추가적인 플러그인 없이 많은 웹 애플리케이션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합니다. HTML5의 기술은 W3.org에서 확인 가능합니다. https://www.w3.org/html/logo/ 1. HTML5의 기술들과 개발단계 1-1. SMANTICS "의미론적: 마크업은 HTML5에서 새로 정의 되었습니다. 새로 추가된 요소들도 있지만, 이제 태그의 분류도 "블록"과 "인라인" 레벨이 아닌 "의미구조"에 맞게 분류합니다. 세부항목은 메타데이타 켄텐츠(metadata content), 플로우 컨텐츠(flow contents), 색셔닝 컨텐츠(sectioning content), 헤딩 컨텐츠(heading content..
2017.09.13 -
2-3. 구조를 다루는 마크업 언어
컴퓨터가 이해하는 페이지를 만들기 위해 필요한 것이 마크업 언어입니다. 마크업은 "문서의 논리적인 구조를 묘사하기 위해 텍스트나 워드프로세싱 파일의 특정 위피에 삽입되는 일련의 문자들이나 기로들을 말하고, 그런 기호들로 문서구조를 작성하는 행위"도 포함됩니다. HTML은 SGML(Standard Generalized Markup Language)에서 파생된 언어로 가장 많이 활용되는 언어입니다. HTML은 1989년 유럽 입자 물리 연구소의 계약자였던 물리학자 팀 버너스리가 인터넷 기반이 하이퍼텍스트 체계를 제안하는 메모를 작성하고, 1990년 말에 HTML을 명시한 후 브라우저와 서버 소프트웨어를 작성하면서 만들어지게 됩니다. 1991년 말에 버너스리가 처음으로 인터넷에서 문서를 "HTML tag"로 ..
2017.09.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