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 웹 접근성이란?

2017. 9. 12. 03:56웹 표준 퍼블리싱 바이블

1. 웹 접근성(Web Accessibilty)이란 무엇인가?
 웹 접근성은 "장애인이나 고령자들이 비장애인과 동등하게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접근하고 이해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입니다. 웹 접근성 연구소에서는 각 단체별 정의사항을 정리하고 있는데 살펴보면 다음과 같습니다.

구분 

정의 

장애인˙노인 등의 정보통신 접근성 향상을 위한 권장지침 

정보통신 제품과 서비스를 활용하고자 하는 사람에게 이의 활용 가능성이 제공되는 것 

웹 접근성 이니셔티브 (WAI) 

장애를 가진 사람들도 웹을 이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으로, 장애를 가진 사람들이 웹 컨텐츠를 인지, 운영, 이해하고, 기술에 상관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웹 컨텐츠를 만드는 것

위키피디어 (Wikipedia) 

표준 브라우저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용자 에이전트를 사용하는 사람들이 웹 페이지에 접근하기 쉽게 만드는 것으로, 이를 통해 장애인들도 웹을 사용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한국정보화진흥원 

어떠한 사용자(장애인, 노인 등) 어떠한 기술환경에서도 사용자가 전문적인 능력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정보에 접근할 수 있도록 보장하는 것 


 정의사항이 약간씩 차이가 있다고 하더라도 각자가 추구하는 바는 같다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웹 표준으로 잘 짜인 웹 페이지는 그 자체로서 웹 접근성을 보장하므로 웹 표준에 더욱 깊은 관심을 가져야 하겠습니다.


2. 한국형 웹 컨텐츠 접근성 지침 2.0 알아보기
2-1. 인식의 용이성(Perceivable) : 모든 컨텐츠는 사용자가 인식할 수 있어야 한다.
 인식의 용이성이란 웹 사이트가 모든 컨텐츠에 대하여 사용자의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동등하게 인식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1) 대체 텍스트 : 텍스트가 아닌 컨텐츠에는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합니다.

적절한 대체 텍스트 제공 

텍스트 외의 컨텐츠는 그 의미나 용도를 이해할 수 있도록 대체 텍스트를 제공해야 한다. 


   -2) 멀티미디어 대체 수단 : 동영상, 음성 등의 멀티미디어 컨텐츠는 이해를 돕는 대체 수단을 제공해야 합니다.

자막제공 

멀티미디어 컨텐츠에는 자막, 원고 또는 수화를 제공해야 한다. 


   -3) 명료성 : 제공되는 컨텐츠는 명확하게 그 의미가 전달되어야 합니다.

색에 무관한 컨텐츠 인식 

컨텐츠는 색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합니다. 

명확한 지시 사항 제공 

지시 사항은 모양, 크기, 위치, 방향, 색, 소리 등에 관계없이 인식될 수 있어야 한다. 

텍스트 컨텐츠의 명도 대비 

텍스트 컨텐츠와 배경 간의 명도, 대비는 4.5대1 이상이어야 한다. 

배경음 사용 금지 

자동으로 생성되는 배경음을 사용하지 않아야 한다. 


2-2. 운용의 용이성 : 사용자 인터페이스 구성 요소는 조작 가능하고 내비게이션 할 수 있어야 한다.
 웅용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모든 기능을 운용할 수 있게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웅용의 용이성은 키보드 접근성, 충분한 시간 제공, 광 과민성 발작 예방, 쉬운 내비게이션의 4가지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키보그 접근성 : 컨텐츠는 키보드로 접근할 수 있어야 합니다.

키보드 사용 보장 

모든 기능은 키보드만으로도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초점 이동 

키보드에 의한 초점은 논리적으로 이동해야 하며, 시각적으로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 


   -2) 충분한 시간 제공 : 컨텐츠를 읽고 사용하는데 충분한 시간을 제공해야 합니다.

응답 시간 조절 

시간 제한이 있는 컨텐츠는 응답 시간을 조절할 수 있어야 한다. 

정지 기능 제공 

자동으로 변경되는 컨텐츠는 움직임을 제어할 수 있어야 한다. 


   -3) 광과민성 발작 예방 : 광과민성 발작을 일으킬 수 있는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합니다.

깜빡임과 번쩍임 사용 제한 

초당 3~50회 주기로 깜빡이거나 번쩍이는 컨텐츠를 제공하지 않아야 한다. 

 
   -4) 쉬운 내비게이션 : 컨텐츠는 쉽게 탐색할 수 있어야 한다.

반복 영역 건너뛰기 

컨텐츠의 반복되는 영역은 건너뛸 수 있어야 한다. 

제목 제공 

페이지, 프레임 컨텐츠 블록에는 적절한 제목을 제공해야 한다. 

적절한 링크 텍스트 

링크 텍스트는 용도나 목적을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해야 한다. 


2-3. 이해의 용이성 : 컨텐츠는 이해할 수 있어야 한다.
 이해의 용이성은 사용자가 장애 유무 등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해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이해의 용이성은 가독성, 예측 가능성, 컨텐츠의 논리성, 입력 도움의 4가지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가독성 : 컨텐츠는 읽고 이해하기 쉬워야 합니다.

기본 언어 표시 

주로 사용하는 언어를 명시해야 한다. 


   -2) 예측 가능성 : 컨텐츠는 기능과 실행 결과는 예측 가능해야 합니다.

사용자 요구에 따른 실행 

사용자가 의도하지 않은 기능은 실행되지 않아야 한다. 


   -3) 컨텐츠의 논리성 : 컨텐츠는 논리적으로 구성해야 합니다.

컨텐츠의 선형화 

컨텐츠는 논리적인 순서로 제공해야 한다. 

표의 구성 

표는 이해하기 쉽게 구성해야 한다. 


   -4) 입력 도움 : 입력 오류를 방지하거나 정정할 수 있어야 합니다.

레이블 제공 

입력 서식에는 대응하는 레이블을 제공해야 한다. 

오류 정정 

입력 오류를 정정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해야 한다. 


2-4. 견고성 : 웹 컨텐츠는 미래의 기술로도 접근할 수 있도록 견고하게 만들어야 한다.
 견고성은 사용자가 기술에 관계없이 웹 사이트에서 제공하는 컨텐츠를 이용할 수 있도록 제공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견고성은 문법 준수,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의 2가지 지침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1) 문법 준수 : 웹 컨텐츠는 마크업 언어의 문법을 준수해야 합니다.

마크업 오류 방지 

마크업 언어의 요소는 열고 닫음, 중첩 관계 및 속성 선언에 오류가 없어야 한다.


   -2)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합니다.

웹 애플리케이션 접근성 준수 

컨텐츠에 포함된 웹 애플리케이션은 접근성이 있어야 한다.